-
블루웨이브 뜻 태양광 등 ESG 관련주 투자 인기카테고리 없음 2021. 1. 11. 00:42반응형
블루웨이브 뜻 태양광 등 ESG 관련주 투자 인기 요즘 신문이나 포털사이트에 자주 등장하는 블루웨이브와 ESG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블루웨이브 뜻
민주당 바이든 당선으로 백악관과 하원에 이어 상원까지 장악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블루웨이브(Blue Wave)'라는 단어를 여러 매체에서 자주 쓰이고 있지요.
미국의 국회는 우리나라와 다르게 상원과 하원으로 분리됩니다. 민주당은 이번 대선을 통해 상원과 하원 모두 과반 이상을 차지하게 됐으며, 여기에 민주당 출신의 바이든이 백악관의 새 주인이 되면서 향후 모든 법안과 정책을 일사천리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민주진영은 파란색 계열을, 보수진영은 붉은색 계열을 상징색으로 사용합니다. 즉, 블루웨이브란 대선 이후 파란색을 상징으로 삼는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며 정치적 헤게모니를 형성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미국 민주당이 백악관 뿐 아니라 상원, 하원까지 모두 장악한 것은 오바마 행정부 초기인 2008~2010년이 마지막이였습니다.
바이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불황을 종식시키기 위해 대규모 부양책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습니다. 아울러 기업의 적절한 규제와 세금 강화, 노동자 보호 등을 통해 국가 경제의 내실을 다지는 데 주력할 전망입니다.블루웨이브의 영향
바이든을 필두로 하는 블루웨이브는 경제 분야에서 '기대 요소'로 작용하면서 뉴욕증시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1월 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블루칩(우량주) 클럽인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437.80포인트(1.44%) 뛴 3만829.40에 거래를 마쳤지요.
장중 기준, 종가 기준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대형주 위주의 S&P(스탠다드앤푸어스) 500 지수는 21.28포인트(0.57%) 상승한 3748.14를 나타냈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에 감도는 추가 재정 확대에 대한 기대감은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든이 주목하는 환경, 인프라 분야에서 국내 관련주의 랠리 시기도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미 증시에서 나타나는 은행주와 철강, 에너지 업종의 강세가 국내 증시에도 전도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요.국내 블루웨이브 관련주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과 관련하여 국내 블루웨이브 관련주들의 주가도 함께 들썩이고 있습니다.
오성첨단소재, 세미콘라이트 등 마리화나 관련주, 그린케미칼, 후성 등 저탄소 관련주, 우림기계, 씨에스베어링, 대성파인텍, 한화솔루션, 세종공업 등 풍력/태양광에너지/수소차 관련주, LG화학, 코스모화학, 씨아이에스 등 2차전지/전기차 관련주들입니다. 그리고, 블루웨이브 현실화에 따른 미국의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미국증시에서 은행주들이 상승세를 보여주면서, 하나금융지주, KB금융, 신한지주 등 은행주도 상승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태양광등 신재생에너지와 ESG관련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가 미국 민주당의 조지아주 연방 상원의원 선거 압승 소식에 축포를 터뜨렸어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가 본격화됨에 따라 신재생주의 랠리는 이제 시작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요.
ESG관련주 글로벌 ETF 뉴욕증시에서 태양광 테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인 ‘Invesco Solar ETF(TAN)’은 8.57% 오르며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들 ETF는 조지아 상원의원 투표에서 민주당이 2석을 모두 가져갈 것이란 전망이 나오자 상승곡선을 탔지요. 태양광 관련주 중에선 선파워(SPWR)가 20% 넘게 올랐고 선런(RUN)과 선노바(NOVA)는 각각 16%, 11% 상승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인 지난해 이미 신재생에너지 관련주가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 바이든 차기 행정부의 지원정책은 ‘금상첨화(icing on the cake)’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민주당의 압승이 미국시장에 대한 노출도가 높은 태양광 기업들에 큰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테마에 대한 ESG 투자가 늘어날 것이란 점도 긍정적인 요인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미국 퇴직연금(401k)의 ESG 투자 확대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왔던 것과는 다른 접근을 할 것으로 예측됩니다.국내에는 우림기계, 씨에스베어링, 대성파인텍, 한화솔루션, 세종공업 등이 풍력/태양광에너지/수소차 관련주로 분류되면서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 ESG관련주 ETF 펀드 반응형